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피커4

카오디오 앰프(Amplifier:증폭기) 앰프(Amplifier:증폭기)란 헤드유닛에서 나오는 아주 작은 신호 (전압)를 전력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 증폭기기를 말한다. 가정에서와 달리 움직이는 차에서의 음악 감상은 내, 외적인 소음 등의 열악한 환경 때문에 좀더 크고 강한 소리여야만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카오디오에서 앰프의 중요성은 실로 크다 하겠다. 일반적으로 헤드유닛의 자체출력은 공간확보, 방열 등의 문제로 대출력을 얻기에는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으므로 별도의 파워앰프를 사용하여야만 대출력을 얻을 수 있다. 헤드유닛에서 나오는 신호(전압)은 극히 미약하여 이것을 몇십 혹은 몇백 W 이상으로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하는 것을 메인앰프(파워앰프)라 하고 메인앰프와 헤드유닛 사이에 놓여져 입출력의 크기 및 임피던스 매칭용으.. 2023. 4. 23.
카오디오 서브우퍼 1. 서브우퍼 시스템의 형태 및 박스 타입 결정 디자인 목표: 하이엔드 오디오; 뛰어난 과도응답. 서브 시스템: 10" , 12" 스피커를 사용한 실드타입; 서브우퍼는 전용 앰프에의해 작동. 디자인 목표: 높은 SPL사운드. 서브 시스템: 10" , 12" 스피커를 사용한 Port type 또는 6th order bandpass system. 디자인 목표: 간단한 시스템에 서브우퍼 추가하기; 저가; 좋은 과도 응답; 작은 박스 사이즈. 서브 시스템: 8" DVC 스피커를 사용한 Passive 4th order bandpass system. 디자인 목표: A/V용 "bass unit"추가하기 서브 시스템: 6" 스피커를 사용한 Passive 6th order bandpass system. 1. 실드 시스템.. 2023. 4. 23.
스피커의 종류 스피커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분류로 나뉘어 집니다. 1. 다이나믹 스피커 (Dynamic Speaker) 대부분의 스피커는 다이나믹 스피커로, 전자기적 신호를 직접 움직이는 커넥터로 변환합니다. 이 스피커는 콘, 웨이퍼, 덮개 등으로 구성되며, 전기 신호가 코일을 흐르면 마그넷이 이를 따라 움직여 소리를 발생시킵니다. 2. 리본 스피커 (Ribbon Speaker) 리본 스피커는 얇은 금속 리본이 진동하며 소리를 발생시킵니다. 이 스피커는 고음에 대해 매우 민감하며, 일부 하이엔드 오디오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3. 플래너 스피커 (Planar Speaker) 플래너 스피커는 평면적인 디자인으로, 얇은 막으로 된 다이아프램이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킵니다. 이 스피커는 고음과 .. 2023. 4. 6.
크로스오버 네트워크(crossover network) 크로스오버 네트워크(crossover network)는 스피커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주파수를 분리하여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적절한 유닛(스피커 드라이버)으로 전달하기 위한 회로입니다. 스피커 시스템은 보통 저역대, 중역대, 고역대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각의 주파수 대역은 다른 유닛(스피커 드라이버)으로 전달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크로스오버 네트워크가 필요합니다.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는 저역대, 중역대, 고역대 세 부분의 주파수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각각의 스피커 드라이버로 전달합니다.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는 저역대, 중역대, 고역대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며, 주로 저역대는 로우패스 필터, 고역대는 하이패스 필터로 구성됩니다. 이를 통해 스피커 시스템의 .. 2023. 3.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