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장병증

by 듀플렉스 2023. 4. 25.
반응형

당뇨병성 신장병증
 당뇨병성 신장병증은 당뇨병에 의하여 신장의 사구체들이 손상되면서 사구체가 느슨해져 정상적일 때는 소변에 배출되지 않았던 단백질들이 소변으로 배출되며, 혈장내 단백질의 감소로 부종 등의 증상이 생기는 당뇨병 합병증을 말합니다.
 
원인
당뇨병이 생긴 직후에 신장에서의 여과작용이 증가하며, 몇 년에 걸친 만성적인 고혈당의 결과로 신장 모세혈관(사구체)의 기저막이 두꺼워집니다. 또한 여러 당단백질의 분포에 이상이 생겨 기저막은 두꺼워지고, 그 투과성도 증가하여 소변으로 혈중 단백질이 손실됩니다. 또한 당뇨병으로 혈당이 상승되었을 경우에는 신장의 여과기전에 있어 압박을 받게 되는데 그 결과로 신장의 혈관에 압력이 증가하게 되며 그 압력으로 신장이 손상을 입게 됩니다.

증상
당뇨병성 신증은 미세 단백뇨( >30mg/일)에서 시작이 되며, 신장 기능의 저하와 관련하여 신부전이 진행되고 내부의 인슐린과 투여된 인슐린의 분해 작용이 감소하여 저혈당증이 자주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신장기능의 저하는 여러 기관들의 기능 부전으로 연결되어 시력저하, 발기불능, 발의 궤양, 울혈성 심부전, 설사 등을 경험하게 되기도 합니다.

치료
신부전에서는 투석(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과 신장 이식의 두가지 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생활요법
평소 고혈압을 조절하며 요로 감염을 적극적으로 치료, 예방해야 합니다. 또한 신장에 해가 되는 해로운 물질을 피하며 신기능 변화에 따른 투약을 적응하며 평소 저염식이와 저단백식이를 하도록 합니다.

 

출처 : 고려대학교암암병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