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생활습관병

by 듀플렉스 2023. 4. 25.
반응형

생활습관병(生活習慣病)은 일상생활에서의 습관과 식습관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질환을 의미합니다. 주로 고혈압,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등이 포함됩니다.

최근에는 감염성 질환 이외의 거의 모든 질환이 이에 해당한다고 생각하여 비감염성 질환(Non-communicable diseas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혈압,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뇌졸중, 만성폐쇄성폐질환, 천식, 알코올성 간질환, 퇴행성관절염, 악성종양 등이 이에 해당한다.

생활습관병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불균형한 식습관: 과다한 포만감을 주는 고열량 음식, 지방이 많은 음식, 고당도 음료 등의 섭취는 비만, 고혈압, 당뇨병 등의 질환을 유발합니다.

운동 부족: 충분한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은 체중 증가와 근육의 약화 등의 원인이 됩니다.

급격한 스트레스: 급격한 스트레스는 고혈압, 심장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알코올 및 담배: 과도한 음주 및 흡연은 고혈압, 심장질환, 각종 암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생활습관병의 특징은
- 유전적인 체질과 환경 인자인 스트레스, 비만 등이 결합되면 발생
- 서서히 발병하고 초기엔 대부분 자각증상이 없음
- 40~50대에 가장 많이 발병
- 대부분 예방이 가능하고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고 예방하면 극복 가능
- 하나의 질병이 아닌 질환군으로 인식 (병이 중복되어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생활습관병의 예방 방법으로는 균형 잡힌 식습관과 충분한 운동이 필요합니다. 또한 급격한 스트레스를 피하고, 음주와 흡연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이미 질환이 발생한 경우에는 의료기관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활 습관병 예방수칙
1. 가공식품, 염장식품, 탄 음식의 섭취를 줄인다.
2. 다양한 과일과 야채를 하루 5번 이상 먹고, 곡물섭취를 늘린다.
3. 우유는 저지방 우유를 먹고, 콩과 생선 섭취를 늘리고, 기름기가 적은 고기를 선택한다.
4.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알코올 섭취를 줄이고 적당히 견과류를 섭취한다.
5. 튀긴 음식의 섭취를 줄인다.
6. 과음을 피한다.
7. 금연이 가장 중요하다.
8. 하루 30분 이상 매일 걷는다.
9. 적절한 휴식과 여가생활을 즐긴다.
10. 매년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는다.
11. 안전제일을 생활화한다. 안전벨트, 운동 보호구 등으로 관절 등을 보호한다.

 

반응형